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우리채소3(배추, 오이) 아삭하고 달보드레한 배추 겨울이 돼서야 맛이 차오르는 배추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김치나 국 쌈 채소로 활용합니다. 하지만 배추의 맛을 제대로 알게 된다면 다소 제한적인 활용 범위에 아쉬움을 느낄 것입니다. 부위벼르 품종별로 맛이나 향이 모두 다른 섬세한 맛을 가집니다. 제철: 가을 ~ 겨울(10월 ~12월) 분류: 잎채소 주요 생산지: 강원도 영월, 평창 , 전라남도 해남 부위별 특징 해남배추 겉잎: 감칠맛, 쓴맛, 고소한향, 겨자향, 흙향, 물비린내 , 황향 중간: 단맛 , 겨자향, 과일향 (딸기) ,비린내 (콩비린내), 수분감 속대: 단맛, 허브향(로즈마리, 세이지) 흙향 고랭지배추 겉잎: 감칠맛, 쓴맛, 머스터드향, 풀향, 흙향, 황향 중간: 단맛, 겨자향, 시트러스 향, 물비린내, 아삭함 속대: 단.. 2022. 10. 2.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우리채소 2(감자, 무) 다재다능한 뿌리채소 감자 과거 가난한 이들의 배를 채우던 구황작물의 대표주자 감자가 있습니다. 삶아 먹으면 포슬포슬하고 부드러운 맛이 속을 따뜻하게 채워줍니다. 끓이기 ,굽기, 조리기, 튀기기 등 그 어느 조리법으로 요리해도 맛이 좋아 요리에 두루 사용되는 만능 뿌리채소입니다. 품종에 따라 적절한 조리법을 찾아서 요리하면 더욱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제철: 봄~여름(4~8월) 분류: 뿌리채소 주요 생산지: 대서감자( 경상북도 안동) 수미감자( 강원도 홍천) 남작가자(충청북도 괴산) 맛과 향미의 특징 맛- 단맛, 신맛, 쓴맛 , 감칠맛 향미- 대서감자(점질) : 버섯향, 젖은 흙향, 고소한 향 남작감자(분질): 고소한 향, 풋사과향, 고구마 향 수미감자: 오이향, 달콤함 향 부위별특징 껍질: 대서감자-.. 2022. 10. 1.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우리 채소 한국 식문화의 특징 한국의 식재료 :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국토의 3분의 3가 산으로 이루어져 대륙성 기후가 나타나는 자연 환경을 갖고 있는 동아시아 반도 국가입니다. 이러한 기후 특성으로 산과 바다에서 식물성 재료가 주로 생산됩니다 . 쌀- 대륙성 기후 , 사계절에 따른 벼농사가 적합 합니다. 단면적당 높은 생산량을 가져 옵니다. 채소, 버섯, 나물 -국토의 3분의 2는 산이며 평균 고도 482M로 인간이 접근하고 채집할수 있는 높이입니다. 해조류- 삼면이 바다이고 동해 , 서해, 남해 환경에 따른 다양한 해조류를 보유 하고 있습니다. 콩- 만주가 원산지이며 야생종3379종 발견, 4000년 전 한반도에서 재배 시작을 했습니다. 한반도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합니다. 소금-서해에서 미네날 .. 2022. 10. 1.
음식의 매운맛의 역사 2. 고추의 발견과 전파 콜럼버스는 후추의 새로운 구입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범선을 타고 항해했습니다. 그래서 1492년 본인은 인도라고 착각한남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햇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후추대신 고추를 발견했습니다 . 기원전 8000~7000년부터 페루 산악지대에서 재배되던 고추가 콜럼버스 덕분에 유럽에 소개되었지만, 다른 향신료와 같은 인기는 끌지 못했습니다. 고추는 오히려 아프리카 , 인도, 중국 남부 해안, 마카오 , 일본의 나가사키, 필리핀 등으로 전파되어 정착되기 시작했습니다 . 우리나라에도 임진왜란 때 일본을 거쳐 들어오게 되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처음부터 고추를 즐겨 먹은 것은 아니였습니다. 유럽은 외국에서 들어온, 후추, 담배, 코코아 등에는 등어오자마자 열광했는데 고추는 왜 그렇게 인기.. 2022. 9. 24.